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역류성 식도염 주요증상 및 치료

by 庫房지기 2024. 3. 26.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올라오는 것을 위 식도 역류 질환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위 식도 역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중 위내시경 검사에서 식도염의 소견이 발견되는 경우를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치료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위 식도 역류질환

 

건강한 사람은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하부식도 조임근횡격막이 잘 막아주며, 위산과 위속 내용물이 역류되더라도 식도 운동이 즉각적으로 일어나 위로 다시 내려 보내 식도가 상하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하부식도조임근

 

그러나 식도 조임근의 힘이 약하거나 부적절하게 열리면 위액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게 되는데 이를 위식도 역류라고 합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은 역류가 지나치게 많이 일어나 식도로 넘어온 위산과 위속 내용물이 식도 점막을 자극하여 쓰리고 아픈 증상을 일으키며 심하면 식도염, 식도궤양, 협착 식도궤양, 협착 등을 일으킵니다. 목까지 넘어오는 경우 후두염이나 천식, 만성기침 등을 일으키기고 합니다.

위식도 역류증

 

 

전형적인 증상과 질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속 쓰림과 위산의 역류, 소화불량 등입니다. 그 밖에도 만성 기침, 쉰 목소리, 목의 이물감, 흉통, 기관지 천식 등과 같은 식도 외 증상들도 흔히 발생합니다. 따라서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받기 전에 다른 여러 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있습니다.

주요증상

 

특히 속 쓰림 증상은 위염이나 위궤양 같은 위장 질환과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속 쓰림은 식도염, 위궤양,십이지장궤양, 기능성 위장장애, 심지어 위암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식도염에 의한 속 쓰림만의 특징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물을 한잔 마시거나 제산제를 복용하면 금방 증상이 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주로 식사 후 속 쓰림

● 과식하거나 기름진 음식, 자극성 음식을 먹은 후에 많이 발생

● 속 쓰림이 등으로 뻗치는 증상

 

생활습관 교정으로 질환 치료

 

1. 식습관 교정

 

  식도 조임근의 기능을 약하게 하는 기름진 음식, 커피, 술 등을 피합니다.

  음식을 많이 먹으면 위산이 많이 나오므로 과식을 피해야 합니다. 특히 늦은 저녁 술과 기름진 음식으로 과식을 해서는 안됩니다.

불필요한 위산 분비를 줄이고 생체리듬을 촣게 유지하기 위해 식사는 규칙적으로 해야 합니다.

 

2. 비만 개선

 

복부 비만은 위 식도 역류질환 발생의 위험인자 입니다. 비만이 복압을 상승시키고 횡격막에 기계적인 압박을 가하기 때문에 식도 열공 탈장을 발생시키거나 위 식도 괄약근의 이완을 촉진시키는 등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3. 침대 머리를 높게 유지

 

누워 있을 때 역류가 일어나 고통을 받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자는 도중에 일어나는 증상은 베개만 높인다고 호전되는 것이 아니므로 식사와 수면 사이에 충분한 시간적 간격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위는 식도보다 왼쪽에 위치하므로 우측보다 좌측으로 누워 자는 것이 역류를 적게 일어나게 하는 방법입니다.

생활습관교정

 

그 밖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위식도 역류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약물치료와 병행해야 그 효과를 배가 시킬 수가 있습니다. 

 

약물치료

 

역류되는 위 내용물 중 식도염을 일으키는 주범은 위산입니다. 따라서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를 처방하는 약제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위산을 조절하는 약제

 

제산제 : ①위산을 중화시키는 약제. ②식사 2시간 후 또는 속 쓰린 증상이 발생할 때 복용.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양성자 펌프 저해제 : ①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제 ②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는 식후 30분 또는 의사의 복용 지시에 따라 복용 ③양성자 펌프 저해제는 반드시 아침 식전 30분~1시간에 복용, 식후 복용 금지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 : ①약효 발현 시간이 빠르고 약효 지속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사용량이 증가 ②식사와 관계없이 일일 1회 복용

 

재발 방지를 위한 유지요법

 

경미한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약 80%는 약물요법에 의해 증상이 호전되거나 소실되며 심한 미란성 식도염으로 진행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미란성 식도염 환자의 대부분은 재발을 반복하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입니다. 따라서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약물치료를 계속하는 유지요법이 필요합니다.

 

유지요법에는 저용량으로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방법과 증상이 재발할 때만 간헐적으로 복용하는 약물치료법이 있습니다. 장기간 약물요법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항역류 수술을 권하기도 합니다.

 

이상으로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증상이 경미할 때 규칙적인 생활과 올바른 식습관을 유지하여 미란성 식도염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위식도 역류질환이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식도염이 반복되면 식도가 좁아지는 협착, 출혈, 바렛식도와 식도선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초기에 생활습관을 잘 관리해서 심하게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고의 치료법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