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

여름철 감염병 비브리오패혈증 증상 및 예방 6월 초인데 벌써 전국이 가마솥처럼 덥습니다. 기온이 한 여름처럼 30도를 웃돌기도 하면서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및 위생해충을 매개로 하는 감염병 예방에 빠른 대책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여름철에 유행하는 감염병의 종류와 그 증상 그리고 예방법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여름철에 주의해야 할 감염병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는 감염병에는 비브리오패혈증, 장출혈성대장균 감영증, 캄필로박터균 감영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 증후군, 살모넬라균 감염증, 수족구병, 레지오넬라증, 말라리아 등이 있습니다. 비브리오패혈증 해수, 갯벌 등 해양환경에서 서식하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세균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입니다. 주로 5~10월에 ①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을 경우, ②상처 .. 2024. 6. 14.
고혈압의 기준과 올바른 혈압측정법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발견하기 어려워 치료시기를 놓치고 방치했을 경우 심근경색증, 뇌졸중, 콩팥병, 시력 손실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침묵의 살인자'가 바로 고혈압입니다.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도 나타나는 고혈압의 기준과 올바른 혈압측정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고혈압의 진단고혈압은 진료실에서 안정된 상태로 측정한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이상인 경우입니다. ☞가정혈압으로 고혈압 기준 :  수축기 혈압이 135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5 이상인 경우  수축기나 이완기 혈압이 모두 기준보다 높을 때(예, 148/93) 뿐만 아니라, 수축기만 140 이상(예, 148/86)이거나, 이완기만 90 이상(예, 136/94)일 경우 모두 고혈압입니다. 올바.. 2024. 5. 2.
코로나 19 "계절독감 수준 관리", 달라지는 방역조치 및 의료지원 내용 5월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 단계가 지금의 '경계'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절됩니다. '관심'은 가장 낮은 코로나 19 위기 단계입니다. 따라서 다음 달부터 대부분의 코로나 19와 관련된 의무방역조치가 사라집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달라지는 내용-방역조치 국내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 이후 약 4년 3개월만에 감염병 재난 위기 단계가 가장 낮은 1단계인 '관심' 단계로 하향됨으로써 2023년 8월 31일 4급 감염병으로 조정된 이후에도 일부 의무였던 방역조치는 모두 권고로 바뀌고, 확진자 격리 권고 기준 또한 4급 감염병인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완화됩니다. ▣ 확진자 격리 기준 ▶기존 '검체채취일로부터 5일 권고'에서 '기침, 발열 등 코로나19 주.. 2024. 4. 20.
미주 지역 덮친 뎅기열 증상 및 예방법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에는 뎅기열, 치쿤구니아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있습니다. 이중 미주지역에서 뎅기열 확산세가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브라질과 파라과이 등 남미에서 환자가 속출하고 있는데, 뎅기열의 개요, 감염경로, 증상과 예방법을 알아봅니다. 뎅기열의 개요 뎅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숲모기류를 통해 전파되는데 그중 이집트모기(Aedes aegypti)에 의해 주로 매개되지만 국내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에 의해서도 전파가 됩니다. 다행한 것은 아직까지 국내 서식하는 흰줄숲모기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적이 없습니다. 잠복기는 평균 5~7일 정도이며 치사율은 약 5%입니다. 그러나 조기에 치료를 하면 약 1%, .. 2024. 3. 30.
반응형